널리 쓰이는 진통제 '아스피린'은 혈소판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를 묽게 하고,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고령자 등 일부 환자에게는 오히려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어 복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김원 경희대학교병원 심장혈관센터 교수는 심뇌혈관질환이 없는 사람에게 아스피린의 '예방 효과'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다고 말했다.
1998년 아스피린 복용이 심근경색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이후 현재까지 아스피린은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의 1·2차 예방에도 많이 쓰이고 있다. 김 교수는 해당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아스피린'은 재발방지를 위한 2차적 예방 효과로 뛰어나다면서도 해당 병력이 없는 사람의 경우 아스피린은 혈소판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출혈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고 했다.
김 교수가 근거로 든 건 아스피린 복용이 뇌출혈을 32% 증가시킨다는 2009년 연구, 저용량 아스피린(50~160mg)은 위장관출혈을 59% 증가시킨다는 2000년 분석 자료다. 특히 2016년 미국 질병예방특별위원회(USPSTF) 분석에 따르면, 아스피린 복용은 심근경색증을 22%, 사망률을 6% 감소시키는 반면 주요 위장관출혈은 59%, 뇌출혈은 33%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그는 2018년에 발표된 '대규모 무작위 임상연구'를 살펴보면, 저용량 아스피린은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지 못한 반면 오히려 출혈을 증가시킨다며 고령일수록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과 함께 출혈의 위험도 증가하기 때문에 아스피린 복용에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교수는 지난 3월 발표된 미국심장병학회 진료지침에서는 출혈 위험이 낮고, 심혈관질환의 고위험군 중 40~70세 성인으로 대상을 국한시켜 선별적인 아스피린 복용을 권장하고 있다며 심혈관질환을 앓았던 병력이 있거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아스피린은 예방적 효과가 클 수 있지만 건강한 성인에게는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9.09.18 매일경제 [서정원 기자]